카테고리 없음

상담심리학-분석적 심리치료의 평가

댕댕이유키 2023. 1. 15. 22:46

 Jung의 분석심리학은 인간의 정신, 특히 무의식 세계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접근과 이해를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를 갖는다. Jung은 자신만의 독특한 경험과 통찰력을 통해 발견한 사실들에 근거하여 무의식의 구조와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제시했다. 이로 인해서 인간의 무의식에 대해서 보다 폭넓게 생각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과 이론체계를 갖게 되었다. 특히 모든 인류에게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집단 무의식과 원형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사회문화적인 특수성을 넘어서 정신장애 환자를 비롯한 모든 인간이 공통적 심상구조를 지닌 한 집단의 일원임을 인식하게 해 주었다. 그러한 집단 무의식과 원형이 드러나는 방식은 철저하게 개인의 입장에서만 이해가 가능하다는 점을 제시함으로써 환자 개개인의 특수성도 함께 중시하도록 강조했다.

 

 

 

 

 

 

 Jung은 개인화 또는 자기실현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치료의 목표뿐만 아니라 인생의 의미와 목적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기틀을 제시했다. 치료의 목표를 단순히 증상의 약화나 불쾌감의 해소에 두기보다 정신 전체를 통합하면서 진정한 자기를 실현하는 개성화로 확대한 것은 Jung의 공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Jung은 치료자에게 환자를 병적인 문제를 지닌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전체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하나의 온전한 존재로 보도록 촉구하였다. Jung의 분석심리학은 그 개념이 복잡하고 과학적인 검증이 어렵기는 하지만 인간의 심층심리에 대한 풍부한 개념과 이론적 체계를 통해서 심리학뿐만 아니라 종교, 예술, 문학, 등의 여러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Jung의 분석심리학은 이론적인 주장일 뿐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검증이 어렵다는 점에서 많은 비판이 제기되었다. 분석심리학의 이론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성격 유형론에 관한 것이며 다른 개념에 관한 연구는 산발적으로 존재할 뿐이다. 분석적 심리치료의 치료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분석적 심리치료는 치료과정이 장기적일 뿐만 아니라 개인 무의식이나 집단 무의식과 같은 개념들을 통해 치료과정과 치료결과가 평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증적인 검증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특성을 지니고 있다.

 

 

 

 

 

 

 분석적 심리치료는 정신분석과 마찬가지로 수년에 걸친 장기간의 치료기간과 많은 치료비를 요할 뿐만 아니라 그 치료효과도 실증적으로 검증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분석적 심리치료는 치료 대상이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분석적 심리치료를 받으려는 대부분의 내담자들은 지적인 경향이 있고 어느 정도의 성취를 이루었으며 문제해결보다 자신의 삶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려는 동기를 지니는 경향이 있다. 이런 점에서 Jung의 분석적 심리치료는 엘리트를 위한 치료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내담자 역시 자신의 삶에 대한 불만과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더 나은 삶을 위한 성장의 동기를 지니고 있는 사람이다. 분석적 심리치료의 원리와 기법은 내담자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치료자에 의해 융통성 있게 적용될 수 있다. 분석적 심리치료는 현실적인 문제와 증상의 해결을 넘어서 자신의 정신세계와 인생에 대한 깊은 성찰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