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학-아들러 심리치료기법 3) 마치 ~인 것처럼 행동하기 등
3) 마치 ~인 것처럼 행동하기
마치 ~인 것처럼 행동하기(acting as if)는 내담자가 스스로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을 실제로 성취할 수 있는 것처럼 행동해 보도록 권장하는 개입방법이다. 기분이 좋은 것처럼 행동하면 실제로 기분이 좋아질 수 있으며, 자신감 있게 행동함으로써 자신감이 증가할 수 있다. 이처럼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가능한 것처럼 행동함으로써 새로운 인식과 결과를 유발할 수 있다. 예컨대, 언어적으로 학대하는 남편에게 위축되어 저항하지 못하는 여성은 마치 남편에게 대항할 수 있는 용기를 지니거나 남편이 계속 모욕할 경우 관계를 청산할 용기를 가진 것처럼 행동해 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을 통해서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남편의 언어적 학대 행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내담자의 신념과 문제의식을 변화시키고 통찰을 얻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신념으로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자존심과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변화를 위한 용기를 북돋우며 행동의 목표를 재정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4) 수렁 피하기
사람들이 흔히 빠지는 함정과 난처한 상황을 피하도록 돕는 기법이다. 치료자는 내담자의 지속적인 자기파괴적인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예측하지 못했던 새로운 방식을 제안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레스를 느끼면 혼자 백화점에 가서 돈을 낭비하며 무의미하게 시간을 보내는 내담자의 경우, 이러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권하는 대신 내담자로 하여금 어떻게 하면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친구들을 불러내어 돈을 많이 쓰지 않고 스트레스를 풀 수 있을지를 계획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
5) 자신을 포착하기
자신을 포착하기는 내담자가 반복적으로 범하는 부적응적인 행동을 자각하게 함으로써 그러한 행동을 방지하도록 돕는 방법이다. 치료자는 내담자의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것을 예고하는 표시나 징후를 밝혀내고 내담자로 하여금 이러한 징후가 나타나면 습관적으로 행동을 자제하라는 정지신호로 여기고 새로운 적응적 행동을 하도록 격려한다. 이 기법은 내담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에 대한 자각능력을 발달시킴으로써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점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컨대, 자주 냉정을 잃고 부적절하게 화를 내는 사람은 그가 분노를 폭발시키기 전에 몸 전체가 긴 장한다는 것을 자각한다. 이러한 신체적 긴장의 징후를 느끼면, 이를 정지신호로 여기며 심호흡을 통해 분노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6) 단추 누르기
단추 누르기(Pushing the button)는 내담자에게 자신이 감정을 통제할 수 있음을 인식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내담자로 하여금 유쾌하거나 불쾌했던 상황의 이미지를 떠올리도록 하고 그 이미지에 동반되는 감정들을 살펴보게 한 후, 어떤 감정을 선택할 것인지(어떤 단추를 누를 것인지)를 자신이 결정할 수 있음을 깨닫도록 한다. 예컨대, 과음을 자주 하는 내담자의 경우, 술을 마시면서 느끼는 유쾌한 감정과 더불어 과음으로 인한 신체적 고통과 절제 실패로 인한 자괴감을 생생하게 상상하도록 권한다. 앞으로 유쾌한 감정을 선택하는 단추를 누르면 또 과음을 하게 될 것이며, 신체적 고통과 자괴감의 회피를 선택하는 단추를 누르면 술을 절제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대조적인 두 가지 경험의 생생한 이미지를 통해서 부적응적 행동을 절제하도록 도울 수 있다.